반응형
샤워나 수영을 하지 않았는데도 귀에서 물 같은 액체가 흐를 때가 있습니다.
대부분은 “물이 들어갔나?” 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만,
이 현상은 단순한 물이 아니라 귀 내부의 염증이나 체액 변화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귀에서 물이 나오는 이유를 과학적 원리와 함께 살펴보고,
위험 신호와 대처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귀에서 물이 나오는 이유
귀에서 액체가 나오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단순한 수분이 아니라 몸의 생리적 반응이나 질환으로 인한 분비물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이도염(물귀병)
- 귀에 물이 들어간 뒤 세균이 번식해 생기는 감염성 염증입니다.
- 귀가 가렵고 통증이 있으며, 묽은 액체나 고름이 흐를 수 있습니다.
- 물이 아니라 염증성 삼출액으로, 냄새가 나거나 진물이 섞여 있습니다.
- 중이염(특히 삼출성 중이염)
- 중이(고막 안쪽 공간)에 염증이 생기면 체액이 고이는데,
고막이 터지거나 압력이 높아질 때 외이도로 흘러나옵니다. - 끈적한 액체, 고름, 피가 섞인 분비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중이(고막 안쪽 공간)에 염증이 생기면 체액이 고이는데,
- 고막 손상
- 외부 충격, 큰 소리, 면봉 사용 등으로 고막이 찢어지면
귀 내부 체액이 외이도로 새어 나올 수 있습니다. - 통증, 청력 저하, 이명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 외부 충격, 큰 소리, 면봉 사용 등으로 고막이 찢어지면
- 진균 감염(곰팡이성 외이도염)
- 귀 안이 습하거나 장시간 이어폰을 사용했을 때
곰팡이가 번식하면서 하얀색 혹은 노란색의 끈적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가려움과 냄새가 특징입니다.
- 귀 안이 습하거나 장시간 이어폰을 사용했을 때
- 피지선 과다 분비 혹은 귀지 액화 현상
- 일부 사람은 피지 분비가 많거나 귀지가 부드러운 유형으로,
습기나 온도 변화에 따라 액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통증이나 냄새가 없다면 생리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부 사람은 피지 분비가 많거나 귀지가 부드러운 유형으로,

귀에서 나오는 액체의 특징으로 원인 구분하기
| 분비물의 상태 | 주요 원인 | 동반 증상 | 대처 방법 |
| 투명하거나 묽은 액체 | 외이도염 초기, 알레르기 반응 | 가려움, 이물감 | 귀를 건드리지 말고 병원 방문 |
| 끈적하고 냄새가 남 | 중이염, 고막 손상 | 통증, 청력 저하 | 이비인후과 진료 필요 |
| 하얀색 또는 노란색 | 진균 감염 | 가려움, 냄새 | 항진균제 치료 필요 |
| 투명하지만 증상 없음 | 귀지 액화 | 없음 | 자연 현상일 가능성 있음 |
이 표는 귀에서 물이 나올 때 상태를 구분하여
가벼운 현상인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귀에서 물이 나올 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귀 안에서 액체가 느껴지면 본능적으로 면봉을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행동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면봉 사용 금지: 염증 부위를 자극하거나, 액체를 더 깊이 밀어 넣을 수 있습니다.
- 이어캔들, 알코올 자가세척 금지: 고막 손상 위험이 높습니다.
- 드라이기 열기 직접 쐬기 금지: 염증 부위를 건조시키는 대신 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귀를 건드리지 않고, 깨끗한 티슈로 겉 부분만 닦은 뒤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귀에서 물이 나올 때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즉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통증, 청력 저하, 이명, 열감이 동반됨
- 분비물에 피나 냄새가 섞여 있음
- 며칠 이상 지속되며 양이 많아짐
- 감기나 코막힘과 함께 귀가 막힌 느낌이 남
이런 경우, 단순 귀지가 아닌 중이염이나 고막 손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치면서
귀에서 물이 나오는 이유는 단순히 “물이 들어갔다” 수준이 아닙니다.
귀 안의 염증, 감염, 고막 손상 등 의학적 원인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통증이나 냄새, 분비물 변화가 느껴진다면
자가처치보다는 전문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에서 물이 나올 때 그냥 말리면 괜찮을까요?
단순 습기라면 괜찮지만, 분비물이 반복되거나 냄새가 나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귀에서 피 섞인 액체가 나올 때는요?
고막 손상이나 심한 염증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반응형